반응형
반갑습니다! 남무맘무입니다.
오늘은 웹클라우드 업체별로 무료로 제공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저장공간 제공) 서비스와, 제가 사용 해 본 후기를 여러분과 한번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그럼, 가볼까요?
사진 = pixabay
1. 클라우드 스토리지란 무엇일까?
요즘 인터넷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이라는 둥, 클라우드 서비스라는 둥 말이 많은데요, 클라우드 전체를 컴퓨팅 시스템으로 이용하는 클라우드 컴퓨팅과는 다르게 클라우드 컴퓨팅의 하위개념으로써 단순히 외부 저장장치를 떠나서 서버에 자료를 저장하여 어느 장소에서든 내가 원하는 자료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입니다. 주로 개인들이 많이 사용하며, 기업의 경우 클라우드 컴퓨팅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외장하드보다 클라우드가 좋은 이유
외장하드는 외부 저장장치의 일환으로써, 자신이 주로 이용하는 자료를 담아서 어느 PC든 사용하는 일종의 하드디스크입니다. 그런데, 여러분도 잘 아시는 것처럼 외장하드는 분실할 위험이 큽니다. (분실시 내 '직박구리' 폴더는... 안녕.. 아 물론 저에게 직박구리가 있다는 말은 아닙니다...) 그러나, 클라우드의 경우 자신이 해당 계정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만 알고 있으면 언제든지 접속해 자신의 자료를 업 / 다운로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어때요, 좋은 서비스 이지 않나요?
물론 외장하드가 용량이 큰 대용량자료를 저장하기에 좋다는 건 저도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그러나! 자료의 사이즈는 적지만, USB를 들고다니기에 애매하다 혹은 외장하드를 들고다니기에 애매하다하시는 분들은 오늘 제가 소개드리는 클라우드를 이용해보신 것도 매우 좋은 아이디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죠? ㅎㅎ
3. 개인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무료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알아보기
이제 여러분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대한 이론적 내용을 알게되었습니다. (사실 클라우드에 대한 모든 내용을 알려면 정말 깊게깊게 들어가야 합니다. 그러나, 여러분들은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만 알면 되기 때문에 그렇게까지 많은 내용을 아실 필요는 없다는거!) 무료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의 경우 네이버, 드롭박스, 구글클라우드 서비스가 있습니다. 3가지 서비스의 장단점과 제공되는 용량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볼까요?
- 네이버 클라우드
네이버 클라우드의 경우 네이버 포털계정만 있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스토리지입니다. 기본적으로 30GB가 제공되며, 월 5천원을 지불하면 200GB, 월 1만원을 지불하면 2TB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점이라고 하면 역시 네이버라는 사이트의 접근성이 뛰어나고, 또 계정을 가지신 분이라면 누구나 사용하실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단점은 네이버 클라우드는 공유링크를 걸었을 때 무슨 파일이든 드롭박스에서 흔히 말하는 404 오류 (즉. 잘 짤린다는 것) 가 쉽게쉽게 일어나서 공유하실 때에는 좀 짜증나는 일이 많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어둠의 경로 (?) 를 통해 받은 파일을 공유할 때 네이버에서 직접 저작권 재재를 가하는 일도 있기 때문에 주의하실 필요가 있으실 것 같습니다. 국내 업체니까 어쩔 수 없겠죠?
- 드롭박스
드롭박스는 구글계정 혹은 드롭박스 자체 계정을 가지고 있으면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무료로 이용하는 베이직 서비스의 경우 2GB의 용량이 제공되며, 미화 기준 월 9.99달러를 지불하면 1TB의 용량을, 19.99달러를 지불하면 2TB의 용량과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드롭박스는 다른 업체에 비해 저작권적인 부분이 자유롭기 때문에 (개인적 견해입니다) 아무래도 어둠의 경로 (?) 공유시 많이 사용되는 업체이지만, 무료 제공 용량이 타 업체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에 조금만 큰 자료를 넣으시면 바로 용량이 꽈-악차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까라고 생각합니다.
- 구글 드라이브
사실 포스팅 초기에는 구글 드라이브를 소개할 생각이 없었는데, 서비스가 워낙 편리한 점이 많아서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구글 드라이브는 구글 계정을 가지고 계신 분이라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입니다. 기본 저장공간이 15GB 제공되며, 월 2천 4백원 (연간 2만 4천원)을 지불하면 100GB를, 월 3천 700원 (연간 3만 7천원)을 지불하면 200GB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점으로는 제가 사용한 경험에 따르면 네이버 클라우드에 비해 구글 자체에서 제공하는 오피스 서비스인 구글 문서, 스프레트시트, 프레젠테이션 등등과 연계성이 더 뛰어났으며, (안비밀이지만) 구글 계정의 경우 여러개를 생성할 수 있어서 (다음에 꿀팁 공유하겠음!!) 사용하시는데 용량이 무제한 (???) 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
지금까지 업체별 무료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구글 드라이브, 네이버 클라우드, 드롭박스)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참고로 제가 기본으로 말씀드리는 용량은 모두 무료를 기준으로 한 것이며, 유료로 가실 경우 가격대비 가성비는 또 달라질 수수 있다는 점 알려드리면서 오늘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지금까지 '콤뷰타' 블로거 남무맘무였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 한번씩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