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라IT 블로그, 라잇입니다.
OTT 공유를 위한 플랫폼이 꽤 많죠. 그 예로 피클플러스, 링키드, 벗츠가 대표적일 것 같은데요. 이 글에서는 링키드를 통해 웨이브&티빙&오피스를 공유해본 제 후기를 말씀드리려 합니다. 저는 공유를 '한' 입장, 즉 파티장이기 때문에 파티장의 입장에서 글을 쓰긴 했는데요. 파티원에 관한 언급이 없진 않으니 이 부분을 감안해서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_ _)
1. 링키드의 장점 : 굳이 링키드를 선택한 이유



제가 굳이 링키드를 선택한 이유는 UI가 저에게 매우 친숙했기 때문이었습니다. 아무래도 제가 토스, 왓섭같은 앱들에 좀 익숙해져 있다보니 그런 비슷한 류의 앱을 선택한게 아니였나 싶은데요. 지금 다시 고민해봐도 앞서 말씀드린 피클플러스, 링키드, 벗츠 중에 사용자의 앱 이용 동선을 가장 잘 고려하여 설계된 앱은 링키드인 것 같습니다.
그 외 파티원 가입 시 카카오톡으로 알림을 주는 등의 파티 관련 편의기능은 어떤 업체이든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플랫폼 결정 과정에서 그닥 신경쓰지 않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참고로, 링키드와 피클플러스 간 가격 비교는 위의 표와 같으니 참고해주세요.
이거 뭐 ㅋㅋㅋ... 파티원이든 파티장이든 무조건 피클플러스 이용하는 게 유리하네요.
2. 링키드의 단점 : 파티장은 손해
※ 아래 링키드를 피클플러스로 대체해서 읽으셔도 됩니다. 저는 링키드를 이용했기 때문에, 링키드에 관한 정보만 남겼습니다.
이제 단점을 좀 말씀드리겠습니다. 가끔 이런 생각해보신 적 없으신가요?
파티원에게 비싸게 공유해서 돈을 벌어볼 순 없을까?
사실 애초에 '계정 공유'라는 게 OTT 서비스 이용 약관상 위법이라, 이 생각 자체가 100% 합법적이라고 말씀드릴 순 없습니다. (그렇다고 불법이냐? 그것도 아닙니다. 애매하죠.) 다만 현재와 같이 OTT 업체들이 계정 공유를 묵인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득을 얻는 게 가능하다'면 1/N 비용을 내가 그대로 내면서 공유하기보단 파티원들에게 좀 더 비싸게 공유해서 이득을 취하는 게 파티장 입장에선 훨씬 나을 것입니다.


근데 이런 생각을 한 게 저만 그런 건 아니였나 봅니다. 잠깐 또 다른 공유 사이트 벗츠로 가보겠습니다. 참고로 말씀드리자면 벗츠는 자동 매칭을 지원하지 않으나 판매자가 직접 가격을 정하는 게 가능한 OTT 공유 플랫폼입니다. 벗츠에 관해서 길게 설명할 필요는 없을 듯하여 설명은 이 정도로 하고요. 아래 사진을 한번 보시죠. 지금 보시는 건 유튜브 프리미엄입니다. 국내에는 애초에 유튜브 프리미엄 패밀리 요금제가 출시된 적이 없기 때문에 이런 공유가 불가능한데, 보시다시피 공유가 성행하고 있는 걸 보실 수 있습니다. 이건 빼도박도 못하는 100% 우회 판매입니다.

위 실제 한 업체의 파티를 보시죠. 최근 1개월간 환율상 터키 유튜브 프리미엄 패밀리 요금제가 한 4천원 정도 하거든요? 한 달 이용하는 데에 말이죠. 이때 보시는 사진의 판매자는 파티를 통해 30일 기준 80*30*6=14,400원을 얻습니다. 대충 30일 프리미엄 이용 요금이 4천원이라고 친다면, 세상에... 이 판매자는 한달에 순수익 기준 최대 10,400원을 벌고 있는 겁니다. 물론 앞서 말씀드렸듯 자동 매칭이 아니기 때문에 무조건 10,400원을 번다고 말씀드릴 순 없겠지만, 판매 이후 업체가 가져가는 이윤이 상당하다는 사실은 충분히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죠.
※ 단. 실제로 이 업체가 어떤 국가를 이용하는지를 알진 못합니다. 제 추론이라는 점 참고해주시고요. 참고로 아르헨티나를 이용하더라도 업체에선 하나의 파티 당 약 8천원 정도의 순수익을 가져갑니다
다시 링키드로 돌아와서 계속 말씀드려볼게요. 물론 수수료 문제도 있겠습니다만 링키드가 파티장(판매자) 입장에서 불리한 이유는 위와 같은 이익 창출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겁니다. 저 정도의 이익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공유를 통해 한달 해당 OTT 이용 요금 정도만 벌 수 있다면 개인 파티장 입장에서 그보다 더 좋은 게 어디 있겠습니까? 이러니까 파티장 입장에서 링키드가 많이 불리하다는 겁니다. (다만 가격적 측면을 뺀다면 오히려 링키드가 더 좋은 선택지일 수도 있습니다. 3번 내용을 참고해보세요.) 다만 파티원 입장에선 링키드가 오히려 저렴할 수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듯 링키드는 공유 가격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어떤 파티장이든 무조건 링키드가 제시하는 가격에 따라서 공유를 진행하게 되죠. 그래서 파티원은 정해진 가격에, 그것도 아주 편하게 공유 파티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특히 2~3개월 국내 OTT 단기 파티는 대체로 벗츠에 잘 안 올라오기 때문에 링키드를 이용하는 게 훨씬 빠릅니다. 물론 수수료는 좀 감안하셔야 겠지만요. (이용 조건, 가격을 벗츠와 꼭 비교해보세요)
3. TIP : 개인 파티장 입장에서 플랫폼 고르는 법 (벗츠 VS 링키드&피클플러스)
※ 아래 링키드를 피클플러스로 대체해서 읽으셔도 됩니다. 저는 링키드를 이용했기 때문에, 링키드에 관한 정보만 남겼습니다.


두번째 단락에서 제가 링키드를 무진장(?) 까기만 했습니다만, 링키드가 가격적인 측면만 뺀다면 파티장에게 아예 나쁜 선택지라고 볼 수만은 없습니다. 특히 '자동 매칭 기능'이 때에 따라 파티장에게 장점으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아래 벗츠 화면을 보시죠. 웨이브나 티빙같이 우회로 가격을 낮추는 게 거의 불가능한 플랫폼은 보시는 것처럼 파티가 많이 없습니다. 있다고 하더라도 장기 파티가 대부분이지요. 즉, OTT 공유 계정 재판매 업체가 봤을 때 수익 극대화가 매우 어려운 서비스라는 겁니다. 이와 같이 벗츠 내에서 경쟁이 좀 적은 서비스에 대한 공유는 벗츠를 통해서 하시는 게 더 이익입니다. (사실상 파티마다 가격이 비슷비슷합니다. / 벗츠는 개인 파티장 수수료가 무료입니다.)


한편 넷플릭스, 유튜브는 좀 상황이 다른데요. 보시는 것처럼 참여 가능한 파티가 매우 많습니다. 이건 넷플릭스와 유튜브 프리미엄 모두 터키/아르헨티나 등 해외 우회를 통해 판매하는 전문 업체가 매우 많기 때문에 나타나는 모습인데요. 이런 상황에서 우회없이 정가로 공유한다는 건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단기 파티는 예외) 파티원 입장에서 생각해보세요. 하루 이용 가격이 저렴한 파티를 두고 굳이 '나는 우회하지 않은 파티에 가입하겠어!'하는 파티원이 몇 명이나 될 것 같으십니까? 차라리 이런 상황에 놓인 서비스라면 수수료를 지불한다고 하더라도 자동 매칭 기능이 지원되는 링키드나 피클플러스를 이용하여 파티원을 모집하는 게 시간적, 비용적 측면에서 훨씬 효율적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서비스를 최대한 '저렴하게' 이용하는 데에 관심이 많아 OTT 공유에 관해 꾸준히 연구해왔습니다. 특히 3번과 같은 내용은 국내에서 찾아보기가 매우 어려우셨을 거라고 생각하는데요. 이번 글을 통해 파티장분들이 좀 더 유리한 공유를 하실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오늘 글이 유익하셨다면 공감💖을 눌러주시고, 이 글에 관해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다면 댓글✍을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라IT 블로그, 라잇입니다.
OTT 공유를 위한 플랫폼이 꽤 많죠. 그 예로 피클플러스, 링키드, 벗츠가 대표적일 것 같은데요. 이 글에서는 링키드를 통해 웨이브&티빙&오피스를 공유해본 제 후기를 말씀드리려 합니다. 저는 공유를 '한' 입장, 즉 파티장이기 때문에 파티장의 입장에서 글을 쓰긴 했는데요. 파티원에 관한 언급이 없진 않으니 이 부분을 감안해서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_ _)
1. 링키드의 장점 : 굳이 링키드를 선택한 이유



제가 굳이 링키드를 선택한 이유는 UI가 저에게 매우 친숙했기 때문이었습니다. 아무래도 제가 토스, 왓섭같은 앱들에 좀 익숙해져 있다보니 그런 비슷한 류의 앱을 선택한게 아니였나 싶은데요. 지금 다시 고민해봐도 앞서 말씀드린 피클플러스, 링키드, 벗츠 중에 사용자의 앱 이용 동선을 가장 잘 고려하여 설계된 앱은 링키드인 것 같습니다.
그 외 파티원 가입 시 카카오톡으로 알림을 주는 등의 파티 관련 편의기능은 어떤 업체이든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플랫폼 결정 과정에서 그닥 신경쓰지 않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참고로, 링키드와 피클플러스 간 가격 비교는 위의 표와 같으니 참고해주세요.
이거 뭐 ㅋㅋㅋ... 파티원이든 파티장이든 무조건 피클플러스 이용하는 게 유리하네요.
2. 링키드의 단점 : 파티장은 손해
※ 아래 링키드를 피클플러스로 대체해서 읽으셔도 됩니다. 저는 링키드를 이용했기 때문에, 링키드에 관한 정보만 남겼습니다.
이제 단점을 좀 말씀드리겠습니다. 가끔 이런 생각해보신 적 없으신가요?
파티원에게 비싸게 공유해서 돈을 벌어볼 순 없을까?
사실 애초에 '계정 공유'라는 게 OTT 서비스 이용 약관상 위법이라, 이 생각 자체가 100% 합법적이라고 말씀드릴 순 없습니다. (그렇다고 불법이냐? 그것도 아닙니다. 애매하죠.) 다만 현재와 같이 OTT 업체들이 계정 공유를 묵인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득을 얻는 게 가능하다'면 1/N 비용을 내가 그대로 내면서 공유하기보단 파티원들에게 좀 더 비싸게 공유해서 이득을 취하는 게 파티장 입장에선 훨씬 나을 것입니다.


근데 이런 생각을 한 게 저만 그런 건 아니였나 봅니다. 잠깐 또 다른 공유 사이트 벗츠로 가보겠습니다. 참고로 말씀드리자면 벗츠는 자동 매칭을 지원하지 않으나 판매자가 직접 가격을 정하는 게 가능한 OTT 공유 플랫폼입니다. 벗츠에 관해서 길게 설명할 필요는 없을 듯하여 설명은 이 정도로 하고요. 아래 사진을 한번 보시죠. 지금 보시는 건 유튜브 프리미엄입니다. 국내에는 애초에 유튜브 프리미엄 패밀리 요금제가 출시된 적이 없기 때문에 이런 공유가 불가능한데, 보시다시피 공유가 성행하고 있는 걸 보실 수 있습니다. 이건 빼도박도 못하는 100% 우회 판매입니다.

위 실제 한 업체의 파티를 보시죠. 최근 1개월간 환율상 터키 유튜브 프리미엄 패밀리 요금제가 한 4천원 정도 하거든요? 한 달 이용하는 데에 말이죠. 이때 보시는 사진의 판매자는 파티를 통해 30일 기준 80*30*6=14,400원을 얻습니다. 대충 30일 프리미엄 이용 요금이 4천원이라고 친다면, 세상에... 이 판매자는 한달에 순수익 기준 최대 10,400원을 벌고 있는 겁니다. 물론 앞서 말씀드렸듯 자동 매칭이 아니기 때문에 무조건 10,400원을 번다고 말씀드릴 순 없겠지만, 판매 이후 업체가 가져가는 이윤이 상당하다는 사실은 충분히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죠.
※ 단. 실제로 이 업체가 어떤 국가를 이용하는지를 알진 못합니다. 제 추론이라는 점 참고해주시고요. 참고로 아르헨티나를 이용하더라도 업체에선 하나의 파티 당 약 8천원 정도의 순수익을 가져갑니다
다시 링키드로 돌아와서 계속 말씀드려볼게요. 물론 수수료 문제도 있겠습니다만 링키드가 파티장(판매자) 입장에서 불리한 이유는 위와 같은 이익 창출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겁니다. 저 정도의 이익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공유를 통해 한달 해당 OTT 이용 요금 정도만 벌 수 있다면 개인 파티장 입장에서 그보다 더 좋은 게 어디 있겠습니까? 이러니까 파티장 입장에서 링키드가 많이 불리하다는 겁니다. (다만 가격적 측면을 뺀다면 오히려 링키드가 더 좋은 선택지일 수도 있습니다. 3번 내용을 참고해보세요.) 다만 파티원 입장에선 링키드가 오히려 저렴할 수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듯 링키드는 공유 가격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어떤 파티장이든 무조건 링키드가 제시하는 가격에 따라서 공유를 진행하게 되죠. 그래서 파티원은 정해진 가격에, 그것도 아주 편하게 공유 파티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특히 2~3개월 국내 OTT 단기 파티는 대체로 벗츠에 잘 안 올라오기 때문에 링키드를 이용하는 게 훨씬 빠릅니다. 물론 수수료는 좀 감안하셔야 겠지만요. (이용 조건, 가격을 벗츠와 꼭 비교해보세요)
3. TIP : 개인 파티장 입장에서 플랫폼 고르는 법 (벗츠 VS 링키드&피클플러스)
※ 아래 링키드를 피클플러스로 대체해서 읽으셔도 됩니다. 저는 링키드를 이용했기 때문에, 링키드에 관한 정보만 남겼습니다.


두번째 단락에서 제가 링키드를 무진장(?) 까기만 했습니다만, 링키드가 가격적인 측면만 뺀다면 파티장에게 아예 나쁜 선택지라고 볼 수만은 없습니다. 특히 '자동 매칭 기능'이 때에 따라 파티장에게 장점으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아래 벗츠 화면을 보시죠. 웨이브나 티빙같이 우회로 가격을 낮추는 게 거의 불가능한 플랫폼은 보시는 것처럼 파티가 많이 없습니다. 있다고 하더라도 장기 파티가 대부분이지요. 즉, OTT 공유 계정 재판매 업체가 봤을 때 수익 극대화가 매우 어려운 서비스라는 겁니다. 이와 같이 벗츠 내에서 경쟁이 좀 적은 서비스에 대한 공유는 벗츠를 통해서 하시는 게 더 이익입니다. (사실상 파티마다 가격이 비슷비슷합니다. / 벗츠는 개인 파티장 수수료가 무료입니다.)


한편 넷플릭스, 유튜브는 좀 상황이 다른데요. 보시는 것처럼 참여 가능한 파티가 매우 많습니다. 이건 넷플릭스와 유튜브 프리미엄 모두 터키/아르헨티나 등 해외 우회를 통해 판매하는 전문 업체가 매우 많기 때문에 나타나는 모습인데요. 이런 상황에서 우회없이 정가로 공유한다는 건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단기 파티는 예외) 파티원 입장에서 생각해보세요. 하루 이용 가격이 저렴한 파티를 두고 굳이 '나는 우회하지 않은 파티에 가입하겠어!'하는 파티원이 몇 명이나 될 것 같으십니까? 차라리 이런 상황에 놓인 서비스라면 수수료를 지불한다고 하더라도 자동 매칭 기능이 지원되는 링키드나 피클플러스를 이용하여 파티원을 모집하는 게 시간적, 비용적 측면에서 훨씬 효율적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서비스를 최대한 '저렴하게' 이용하는 데에 관심이 많아 OTT 공유에 관해 꾸준히 연구해왔습니다. 특히 3번과 같은 내용은 국내에서 찾아보기가 매우 어려우셨을 거라고 생각하는데요. 이번 글을 통해 파티장분들이 좀 더 유리한 공유를 하실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오늘 글이 유익하셨다면 공감💖을 눌러주시고, 이 글에 관해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다면 댓글✍을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